《팔만대장경》보존고에 깃든 사연
묘향산 보현사를 참관하느라면 고색창연한 옛 건물들을 지나 맨 마감에 푸른 기와를 얹은 《팔만대장경》보존고를 볼수 있다.
《팔만대장경》은 고려시기 방대한 불교관계책들을 분류하여 묶어놓은 불교총서로서 당대 사회의 출판인쇄문화의 발전면모를 보여주는 귀중한 재보이다.
오랜 세월 다단했던 력사의 전란속에 그 존재마저 무시되여왔고 어두운 보관고에만 묻혀있던 대장경은
주체38(1949)년 10월 어느날 묘향산을 찾으신
《팔만대장경》은 조국해방전쟁시기에 금강암에 옮겨져 보관관리되였으며 그후에 전쟁시기 파괴되였던 묘향산 보현사 대웅전이 복구되면서 거기에 《팔만대장경》보존고를 꾸리고 전시되여 있었다.
주체78(1989)년 6월 또다시 묘향산을 찾으신
당시 묘향산력사박물관 일군들은 《팔만대장경》을 전시하면서 그것을 참관자들에게 보여줄 생각보다 어떻게 하면 오래 보존할수 있겠는가 하는데 더 큰 관심을 돌리면서 대장경을 2권만 전시해놓고 다른 책들은 보존고 2호동에 보관하고있었다.
그러시면서 동무들이 《팔만대장경》을 다 내놓고 보여주면 그것을 오래 보존하지 못할것 같아 그러는것 같은데 그것은 보존대책만 잘 세우면 된다고 하시면서 두터운 유리로 책장같은것을 만들고 거기에 《팔만대장경》을 넣은 다음 아르곤가스를 채워넣고 밀페시키면 오래 보존할수 있을것이라고 하시였다.
이날
이리하여 수천권에 달하는 《팔만대장경》을 모든 참가자들이 다 볼수 있게 보존고가 다시 꾸려지게 되였으며 민족의 재보 《팔만대장경》은 자그마한 변색도 없이 후대들에게 길이 전해질수 있게 되였다.
정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