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비물질문화유산-숨박곡질
최근 새로 등록된 국가비물질문화유산들중에는 숨박곡질도 있다.
숨박곡질은 《범》이 된 아이가 숨은 아이들을 찾아내는 놀이이다.
력사기록에 의하면 숨박곡질은 고려시기에 벌써 어린이들속에 널리 보급되였다.
지난날 이 놀이는 《숨기놀이》, 《감출내기》, 《술래잡기》 등 여러가지 이름으로 불리웠다.
지방에 따라 서로 다르게 불리웠지만 그 이름은 놀이방법에서 붙인것이다.
하나는 놀이에서 숨는 사람을 대상으로 붙인 이름이다.
즉 숨박곡질은 서로 바꾸어 숨는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술래잡기는 《범》이 숨은 애들을 찾아낸다는데로부터 불리우기 시작한 이름이다.
《술래》는 《순라》에서 유래되였다.
숨박곡질은 주로 가을철 달밝은 저녁에 많이 진행되였다.
놀이는 먼저《범》을 정하고 놀이의 중심이 되는 진을 확정한다.
범은 차례세기 또는 돌, 가위, 보로 선정한다.
진은 마당의 구석에 있는 나무나 벽, 바위와 같은 특징적인 지물을 정하였다.
《범》이 정해지고 진이 확정되면 놀이가 시작되는데 《범》은 진에 기대여 눈을 감고 《하나, 둘, 셋…》하며 약속한 수까지 셈을 센다. 그러면 어린이들은 사방에 흩어져 알맞춤한 곳에 몸을 숨긴다.
《범》이 숨은 애들을 찾아낼 때에는 몇가지 약속을 하고 시작한다.
첫째로 《범》이 숨은 애들을 발견하고 이름을 부르면서 손이나 발을 진에 먼저 대면 그 어린이는 《죽은》것으로 되여 숨었던 곳에서 나와야 한다.
둘째로 《범》이 발견한 어린이를 따라잡아 몸을 손으로 다쳐도 그는 《죽은》것으로 된다.
셋째로 《범》에게 발견되였어도 《범》보다 먼저 달려가 진에 손이나 발을 대면 산것으로 된다.
넷째로 숨어있던 어린이가 《범》이 보지 못하는 사이에 달려나와 진에 손이나 발을 대면서 《진》이라고 하면 산것으로 된다.
숨박곡질은 숨어있던 애들이 모두 나오거나 잡히면 한판이 끝난다. 다음에 잡힌 어린이들만 모여 《범》을 다시 정하고 놀이를 계속한다.
이러한 숨박곡질은 어린이들의 심리적특성에 맞는 놀이로서 주위환경에 대한 세밀한 판단력과 날랜 몸동작을 키워주면서도 즐거운 한때를 보내게 하는 유래가 오랜 놀이이다.